관심 커지는 서울 공공재개발
관심 커지는 서울 공공재개발
아시아경제 | 2020.10.12
예비추진위 꾸린 청파1가 주민
용산구청에 사업 참여 공문
신월7동도 동의서 징구 나서
'공공재개발'이 서울 시내 재개발 사업의 대안으로 급부상하고 있다. 임대 물량을 늘리더라도 빠른 사업 추진을 원하는 재개발 구역들의 관심이 늘고 있다.
12일 정비업계에 따르면 용산구 청파동1가 주민들은 최근 재개발 사업을 위한 예비추진위원회를 꾸리고 용산구청에 공공재개발 사업 참여를 요청하는 공문을 보냈다. 주민들은 오는 17일까지 주민 동의를 받아 정부가 진행 중인 공공재개발 사업 후보지 공모에 참여할 계획이다. 서울역 인근에 위치한 이 지역은 북측으로는 서계동 지구단위계획구역, 남측으로는 청파1구역과 접해 있다. 청파동1가의 한 주민은 "재개발 사업 얘기가 나온 후 수십년간 진척이 없어 흐지부지됐지만 정부의 공공재개발 공모 이후 분위기가 바뀌었다"고 설명했다.
양천구 신월7동 주민들도 최근 공공재개발 연합회를 발족한 후 사업 참여를 위한 동의서 징구에 나섰다. 이 지역은 신정뉴타운에 인접해 있으며 일부 지역에서 가로주택정비사업이 추진됐을 뿐 대규모 재개발 사업 움직임은 없던 곳이다. 하지만 최근 잇따른 소규모 연립 건축에 따른 난개발 우려가 커지면서 주민들이 공공재개발로 눈을 돌리는 분위기다.
이들 외에도 그동안 별다른 사업 주체가 없어 재개발이 아예 추진되지 않았던 노후주택가와 정비구역 지정 이후 장기간 사업이 멈추섰던 구역을 중심으로 공공재개발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서울시에 따르면 서울 시내 정비사업구역 중 20곳 이상의 구역에서 공공재개발 사업이 검토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앞서 한남1구역과 장위9구역, 흑석2구역, 아현1구역 등에서 공모 신청서를 제출했고 전농9구역, 성북1구역, 장위8구역 등에서도 공공재개발 참여 의사를 내비쳤다.
공공재개발은 한국토지주택공사(LH), 서울주택도시공사(SH공사) 등 공공이 정비사업에 참여해 추진하는 재개발사업이다. 지난 5월6일 정부가 발표한 '수도권 주택공급 기반강화 방안'에서 최초 도입된 이후 8ㆍ4 부동산 대책에서 정비구역 해제지역까지 대상지가 넓어졌다. 공공재개발에 참여하면 용적률 상향, 인허가절차 간소화, 분양가상한제 적용 제외 등의 인센티브를 얻는다. 사업 기간의 경우 통상 10년 이상 걸리던 게 5년 이내로 단축될 것으로 기대된다. 다만 조합원 분양을 제외한 나머지 물량의 50%를 임대 공급해야 하는 의무를 진다.
국토교통부와 서울시는 11월4일까지 공모를 받은 후 기존 정비구역은 오는 12월까지, 정비구역 해제지역 등 신규지역은 내년 3월까지 후보지 선정을 마무리할 방침이다. 정부는 올해 시범사업으로 500가구를 공급한 후 ▲2021년 4500가구 ▲2022년 1만5000가구 등 총 2만가구를 공공재개발로 공급할 계획이다.
최동현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