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news/재개발 & 재건축

뉴타운 평형비율 ‘5:4:1’ 대세 되나

서광 공인중개사 2012. 9. 4. 16:48

 

 

 

->  naver "북아현뉴타운 공식 홈 페이지" 클릭  <-

 

 뉴타운 평형비율 ‘5:4:1’ 대세 되나

 

 

뉴타운·재개발 지역의 주택 규모별 공급비율로 5대 4대 1이 대세로 자리잡을 것으로 전망된다. 서울시는 뉴타운 실태조사에서 추정분담금을 산출하기 위한 정비계획 중 주택 규모별 공급비율을 기존 서울시 기준인 4대 4대 2가 아닌 5대 4대 1을 적용한다는 방침을 세웠다. 최근 소형 선호현상을 반영했을 때 5대 4대 1의 사업성이 더 뛰어나다는 결론에 따른 것이다. 뉴타운 추진의 관문이 되는 실태조사에서 이 기준을 적용할 경우 앞으로 사업을 추진하는 조합이 가이드라인 격으로 적극 적용할 가능성이 높아 5대 4대 1 비율이 확대될 것으로 예상된다.

■실태조사 추정분담금 '5대 4대 1'

9일 서울시에 따르면 뉴타운 실태조사에서 추정분담금 산출을 위한 정비계획에서 주택평형비율로 5대 4대 1을 적용할 방침이다. 기존 주택 규모별 공급비율인 4대 4대 2(60㎡ 이하 40%, 60~85㎡ 40%, 85㎡ 이상 20%)에서 60㎡ 이하 소형비율이 10%포인트 더 상승한 것이다.

서울시 관계자는 "최근 소형 선호도를 반영했을 때 소형 분양가가 더 높게 책정되고 미분양 우려도 적어 사업성 분석에서 4대 4대 2보다 5대 4대 1이 앞선다는 결과가 나왔다"며 "최근 재개발사업장도 소형 비율을 확대하는 움직임을 보이는 만큼 이런 흐름을 반영해 5대 4대 1을 적용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그러나 실태조사를 위한 추정분담금에만 적용되는 기준일 뿐 서울시의 평형별 의무비율이 변화하는 것은 아니라고 선을 그었다. 시 관계자는 "평형별 분양가가 다르기 때문에 수익 추정을 위해 5대 4대 1 비율을 썼을 뿐 서울시 심의기준은 기존과 변화가 없다"고 전했다.

■'5대 4대 1' 비율 확대될 것

그러나 서울시의 심의기준이 변화되지 않더라도 사업 진행 여부를 결정하는 뉴타운 실태조사에 이 기준을 적용하면 예측 가능한 추정분담금 편차를 줄이기 위해 조합 측이 이 기준을 가이드라인격으로 적극 반영할 것으로 전망된다. 또 최근 강남 재건축의 30%룰이 대세로 잡아가고 있다면 강북지역 재개발·재건축에서는 이미 소형비율이 50%로 하는 사업장도 늘어나며 5대 4대 1이 확대되고 있는 추세여서 더욱 확대될 가능성이 높아졌다.

최근 신길14구역은 573가구 중 전용면적 39㎡ 43가구(임대), 49㎡ 48가구(임대), 59㎡ 200가구(임대 115가구 포함), 84㎡ 191가구, 109㎡ 91가구를 내용으로 하는 정비계획안을 통과시킨 바 있다. 주택 규모별로는 처음 정비계획안이 수립될 당시에는 소형(60㎡ 이하)이 전체 가구 수(475가구)의 30.3%(144가구)에 불과했으나 이번에 전체 가구 수의 50.8%(291가구)로 확대됐다.

영등포구 유원제일1차 아파트 역시 500여가구를 신축하면서 전 가구를 전용면적 85㎡ 이하로 하고, 특히 60㎡ 이하 소형주택을 50% 이상 건립하는 내용의 '유원제일1차아파트 주택재건축정비사업' 계획안을 세웠다.

예스하우스 전영진 대표는 "최근 소형평형 선호도와 더불어 서울시에서 추정분담금 기준을 5대 4대 1로 가이드라인을 세운다면 이를 정비계획에 반영하는 조합이 증가할 것"이라면서 "다만 추정분담금이 더 많이 나올 경우 주민의 반발이 생길 것을 대비해 5대 4대 1보다는 보수적으로 하는 편이 바람직할 것"이라고 전했다.

박지영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