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news/재개발 & 재건축

경찰 '반포 재건축비리' 대형건설사 임직원 등 334명 입건

서광 공인중개사 2018. 12. 12. 18:00

naver "북아현뉴타운을 만드는 사람들" 클릭



경찰 '반포 재건축비리'

대형건설사 임직원 등 334명 입건





뉴스1 | 2018.12.11


홍보대행업체 내세워 꼬리자르기…현금·명품가방 등 제공
"조합원 매일 회의 통해 관리…증거인멸 시도까지"



서울지방경찰청 지능범죄수사대 제공


(서울=뉴스1) 유경선 기자 = 서울 강남지역 재건축 시공사 선정 비리를 수사해온 경찰이 현대·롯데·대우건설 등 대형건설사 임직원 및 이들이 선정한 홍보대행업체 대표 등 300여명을 무더기로 입건했다.

서울지방경찰청 지능범죄수사대는 재건축사업 시공사로 선정되기 위해 조합원들에게 수억원대의 금품을 제공한 혐의(도시 및 주거환경정비법 위반)로 건설사 임직원 22명을, 이 과정에서 건설사 측과 금품을 주고받은 혐의(배임수증재)로 홍보대행업체 직원 293명을 입건해 총 334명을 10일 기소의견으로 검찰에 송치했다고 11일 밝혔다.

경찰에 따르면 건설사 임직원들은 조합원들에게 현금·명품가방·식사·관광 등 다양한 형태의 금품을 제공한 혐의를 받고 있다. 또 홍보대행업체를 선정해 이들에게 대가성 금액을 교부하거나, 계약을 빌미로 법인카드를 받아 유흥에 이용한 혐의도 받고 있다.

◇홍보대행업체 내세운 꼬리자르기…금품 제공받기도


건설사들은 직접 나서기보다 홍보대행업체를 내세워 이들에게 금품을 제공하는 일을 맡겼다. 비리가 적발되더라도 '꼬리자르기'식으로 책임을 회피하려 했다는 게 경찰의 설명이다.

실제로 건설사 임직원들은 업체와 홍보계약을 맺고 홍보활동비를 지급했을 뿐, 금품과 향응을 제공한 건 알지 못하는 사실이라고 대체로 혐의를 부인한 것으로 전해졌다.

하지만 경찰 조사에서 홍보대행사 직원들은 계약관계인 건설사의 명함을 가지고 다니면서 조합원의 집을 가가호호 방문한 것으로 드러났다. 이들은 사전에 조합원들이 어느 건설사를 선호하는지 파악한 뒤 승산이 있는 조합원들에게 금품을 제공한 것으로 조사됐다.

또 각 건설사는 조합원 지지성향과 금품제공 현황을 매일같이 회의를 통해 챙겼다고 경찰은 설명했다. 현금이나 선물을 준 결과도 회의를 통해 보고받았다.

한 건설사 부장은 홍보대행업체 대표에게 수주를 도와준 대가로 유령법인 계좌를 통해 5억5000만원을 지급한 것으로 드러났다. 또 각 건설사 임직원들은 홍보대행업체로부터 합계 1억원 가량의 현금을 받거나 법인카드를 받아 골프장 및 유흥주점 등에서 3억원어치를 쓰기도 한 것으로 조사됐다.

경찰은 먼저 당사자들이 자백한 금액을 토대로 현대건설 1억1000만원, 롯데건설 2억원, 대우건설 2억3000만원 등 총 5억4000만원 가량이 금품으로 제공됐다고 확정했다. 경찰은 이후에도 금품을 받은 것으로 파악된 1400여명의 조합원을 순차적으로 조사해 검찰에 넘길 예정이다. 이에 따라 총 금품 규모는 더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

◇1억5000만원 현금 교부…6000만원 받은 조합원 가족도


시공사 선정 총회가 다가올수록 건설사 간 경쟁은 더 치열해졌다.

건설사들은 조합원이 현금을 원하는 경우에는 부장이 이를 지급하라고 승인한 것으로 드러났다. 또 '과일을 살 경우에는 반드시 조합의 대의원이 운영하는 과일가게를 이용하라'는 공지사항도 내렸다.

또 이들은 조합원들에게 관광상품을 제공하면서 직원들을 대동시켜 챙기도록 했다. 여름 성수기에는 건설사의 계열사 특급호텔에서 좌담회를 개최한 후 조합원을 해당 호텔에 투숙하게 하거나, 휴양지의 고급 리조트에서 묵게 하기도 했다.

조합원들이 금품을 제공받는 데 거부감을 없애기 위해 "제안서가 들어 있으니 열어보라"고 태블릿PC를 건넨 뒤 이를 돌려받지 않거나, 신발장에 선물을 두고 오는 등 다양한 방법을 시도한 것으로 드러났다.

이밖에 1억5000만원 정도 금액을 5만원권으로 급히 제공한 사례나 조합원의 가족이 2400만원의 현금을 수수한 사례도 확인됐다.

이렇게 금품을 제공받은 조합원들은 시공사를 선정하는 총회에서 해당 시공사에 투표했다.

◇개인카드 사용 후 청구…영수증 자료 없애는 등 증거인멸 시도도

이들은 비리 사실을 숨기기 위해 철저하게 수사해 대비해 온 것으로 경찰 조사에서 드러났다.

홍보대행업체 직원들은 조합원들에게 금품을 제공할 때 법인카드를 이용하지 않고, 개인카드로 선물 등을 구입한 뒤 이를 나중에 건설사에 청구하는 방법을 썼다.

또 시공사로 선정된 직후에는 금액을 청구하는 과정에서 첨부된 영수증 등 자료가 들어 있는 사회관계망서비스(SNS) 대화방을 모두 폐쇄하는 등 치밀한 모습을 보였다.

경찰은 이렇게 조합원들에게 제공되는 금품과 향응이 건설사의 홍보용역비로 책정돼 있어 결국 시민들이 부담하는 분양가로 전가된다고 지적했다.

경찰은 앞으로 조합원들을 소환해 금품수수 사실을 확인한 후 검찰에 순차적으로 송치하는 한편, 아직 내사단계에 있는 재건축 비리에 대해서도 수사를 넓혀 나간다는 방침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