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news/부동산 종합 소식

4대강 담합·실적쇼크·부도공포…쑥대밭 된 건설업계

서광 공인중개사 2013. 5. 29. 10:49

 

 

naver "북아현뉴타운 공식 홈페이지" 클릭

 

  

 

4대강 담합·실적쇼크·부도공포…쑥대밭 된 건설업계

 

 

 


영산간 상태하천 조성공사 착공식 현장/조선일보DB

2008년 12월 28일. 경북 안동시 낙동강 고수부지에서 4대강 살리기 사업의 하나로 영산강 생태하천 조성공사 착공식이 열렸다.

"셋, 둘, 하나" 카운트다운을 하자 한승수 전 국무총리는 착공을 알리는 버튼을 눌렀다. 폭죽이 터지고, 행사 참석자들은 탄성을 내질렀다. 한 전 총리는 이 자리에서 "4대강 살리기 사업은 단순한 건설공사가 아니라 경제를 살리고 균형발전을 촉진하며, 환경을 복원하고 문화를 꽃피우는 한국형 뉴딜사업"이라고 힘주어 말했다.

그로부터 5년이 흐른 2013년. 건설업계 살림살이는 얼마나 나아졌을까. 아쉽게도 이전 정부가 그렸던 일자리 창출 효과도, 한국판 뉴딜 사업의 효과를 어디서도 찾아보기 어렵다.

건설업계 경영난은 해를 거듭할수록 악화해, 이젠 중소·중견 건설사에 이어 대형 건설사들까지도 부도 위기를 걱정해야 할 처지가 됐다. 그나마 사정이 낫다는 해외사업에서조차 상당 부분이 적자사업으로 밝혀진 '실적쇼크'에 빠졌기 때문이다.

4대강 담합과 실적쇼크, 부도공포로 이어지는 삼중고가 건설업계를 짓누르고 있는 것이다.

◆ 공정위·감사원·검찰 전방위 압박 시작

이명박 전 대통령은 퇴임연설에서 "이명박 정부의 공과(功過)는 역사에 맡길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나 MB정부의 최대 역점 사업 중 하나인 4대강 사업은 공(功)보다는 과(過)로 기록될 가능성이 커 보인다.

4대강 사업의 문제는 이명박 전 대통령의 퇴임을 1년여 남겨둔 시점부터 본격적으로 불거지기 시작했다.

지난해 6월 공정거래위원회(공정위)는 전원회의를 열고 4대강 사업 과정에서 입찰 담합한 8개 건설사에 총 1115억원의 과징금 부과를 결정했다. 건설사별 과징금 부과 액은 대림산업(225억원), 현대건설(220억원), GS건설(198억원), SK건설(179억원), 삼성물산(103억원), 대우건설(97억원), 현대산업개발(50억원), 포스코건설(42억원) 등이다.

여기에 지난 1월에는 감사원이3년 전인 2010년 발표 때와는 정반대인 4대강 사업 관련 2차 감사보고서를 내놨다. 보고서에는 4대강 사업으로 건설된 16개 보의 안정성에 커다란 결함이 발견됐다고 밝혔다. 또 무리한 사업추진에 따라 수질이 악화될 가능성이 있으며, 부실 설계와 관리 책임도 드러났다고 지적했다.

이달 들어서는 검찰이 30여개 건설사에 대한 압수수색까지 진행했다. 또 4대강 담합 문제로 건설사 임원이 줄줄이 소환되고 있다. 건설업계는 바짝 몸을 낮췄다. 특히 압수물 분석 과정에서 건설사들의 비자금 조성이나 정관계 로비의 단서가 나와 수사가 확대될까 노심초사하는 상황이다.

지난 3월 수문 보수공사가 이뤄진 세종시 세종보/조선일보DB

◆ 독이 된 해외수주, 내실은 없었다

공격적인 해외 수주로 성장세를 이어오던 건설사들은 이제 뒤를 돌아보기 시작했다. 해외사업장에서 부실 수주, 덤핑수주 논란이 불거졌기 때문이다. GS건설의 1분기 대규모 적자는 이를 알리는 신호탄이었다. GS건설은 올 1분기 영업손실5355억원이라는 믿기지 않는 결과를 발표했다. 이어 삼성엔지니어링도 2198억원 영업손실을 신고했다.

지난 2010~2011년에 건설사들이 수주한 중동 화공 플랜트 등의 현장에서 낮은 마진 수주가 이뤄졌던 것이다. 전문가들은 해외수주가 국내 업체 간 치열한 경쟁을 뚫고 따낸 것인 만큼, 제살깎아먹기식 덤핑 수주일 경우 수익성 악화가 확산될 가능성이 큰 것으로 보고 있다.

또 일부 업체의 경우 사업 실적을 위한 '따고 보자'식의 묻지마 수주가 적지않은 것으로 알려져, 수익성 악화 논란이 더 심화할 것이란 우려도 나오고 있다.

건설업계 관계자는 "건설사들이 무리하게 영업 목표를 달성했던 것이 결국 지금의 실적 악화로 돌아온 것이다"며 "앞으로 이 같은 부실 수주가 더 나타날 수 있다는 것이 문제"라고 말했다.

◆ 부도 공포 드리운 건설업계

지난해 극동건설, 진흥기업 등에 이어 올 들어 쌍용건설, 한일건설이 유동성 위기에 내몰렸다. 두산건설도 일산 두산위브더제니스의 미분양으로 자금난에 빠지자 그룹에서의 긴급 지원과 자산 매각으로 1조원을 조달하기도 했다. 한라건설 역시 그룹으로부터 유동성 지원을 받은 상태다.

사태가 이쯤 되자 모기업에서도 이들 건설사를 애물단지 취급하기 시작했다. 공정위 의 4대강 과징금 부과와 검찰 압수수색까지 이어지며 건설업계에 튄 사정 불똥이 혹시 모그룹으로 튈까 염려하는 것이다. 자금난에 허덕이고 있는 계열 건설사 지원을 위해 '곳간' 문을 열어 줘야 한다는 점도 그룹사에게는 짐이 되는 부분이다.

주식시장에서도 건설업종 지수는 올해 들어서는 9.61%, 지난해부터는 20.16% 하락한 상태다. 건설업계에 대한 부정적 시각이 팽배해지면서 자본시장에서도 자금조달이 쉽지 않은 악순환이 반복되고 있다.

한 대형 건설사 홍보담당 임원은 "4대강 담합, 실적쇼크, 부도 등의 문제는 근본적으로 업계가 자초한 것도 있지만, 실상과 달리 부도덕한 기업 집단으로 몰려 국내외 수주를 앞두고 불필요하게 기업 이미지를 깎아먹게 되는 것이 더 큰 문제"라고 말했다.

[김참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