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news/재개발 & 재건축

뉴타운·재개발 문제 '생활권 단위'로 해결…1조 투자

서광 공인중개사 2014. 2. 27. 10:49

naver "북아현뉴타운을 만드는 사람들" 클릭 ◈

 

뉴타운·재개발 문제 '생활권 단위'로 해결…1조 투자

 

 

 

 

[머니투데이 이재윤 기자]
본문이미지
그래픽=강기영
 
 
그동안 구역단위로 추진돼 온 서울시내 뉴타운이나 재개발사업이 생활권 단위로 전면 개편된다.

 서울시는 기존 전면철거 방식의 뉴타운·재개발 사업에서 벗어나 낙후지역의 물리적·경제적 상황을 종합적으로 고려한 생활권단위의 정비사업계획을 마련하겠다고 26일 밝혔다. 이를 체계적으로 추진하기 위해 '서울형 재생기구'를 신설하고 4년간 1조원 규모의 자금을 투입할 방침이다.

 시는 주민들의 공동체 회복과 삶의 질 향상을 위한 도시주거재생 100년 비전을 마련했다고 설명했다. 이는 뉴타운·재개발사업의 진·퇴 결정을 위해 지난 2년간 추진했던 실태조사 등 '뉴타운 수습방안'의 후속 조치다.

 이번 계획에 따르면 시는 기존보다 주거정비사업 면적을 대폭 확대해 폭넓은 개념의 주거지 관리 체계를 마련했다. 종전에 철거 중심의 정비사업 방식인 점단위 구역별 사업추진이 아닌, 생활권을 중심으로 한 면단위의 사업이 추진된다.

 이에 따라 안전인프라나 공원과 같은 생활기반시설의 확충과 주거환경 진단평가(안정·편리·쾌적성 등)도 생활권 단위로 이뤄진다. 생활권을 고려해 낙후지역을 종합적으로 정비·보전·관리하겠다는 게 시의 설명이다.

 사업자금은 주택사업과 도시개발, 교통사업 등을 특별·일반회계와 국고보조금을 통해 마련될 예정이다. 투자는 △낙후지역 정비(도로, 공원 등 기반시설 설치·확충) △보존(성곽마을 등 역사적 가치를 고려) △경제활성화(전통시장 관리와 일자리육성 지원 등)에 집중할 방침이다.

 기존 개발·정비 위주로 편성된 시 조직도 도시재생의 초점에 맞춰 신설·개편된다. 신설되는 서울형 재생기구는 계획·관리·시행등의 기존 도시재생 기능뿐만 아니라 낙후지역의 환경·경제 등도 총괄해 관리한다.

 기존 조직도 이에 따라 새롭게 편성된다. 사업 추진 단계에 따라 주민참여 확대하기 위해 마련된 기존 재생지원센터 등도 적극 활용될 계획이다.

 새로운 정비구역 지정은 해당 지역의 노후도와 가구수 밀도 등을 고려해 선정된다. 특히 주민의견 수렴과정을 충분히 거쳐 그동안 정비사업과정에서 발생했던 찬반갈등과 사업지연, 비용증가 등을 최소화 하겠다는 게 시의 설명이다.

 박원순 시장은 "소외·낙후 된 지역을 정비해 지역브랜드 가치를 높이고 각 지역의 정체성을 회복하는 도시재생을 실현하는 게 시의 비전"이라며 "시민의 삶과 서울의 미래를 담는 통합과 공유의 재생을 실현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이재윤 기자 트위터 계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