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서울 용산국제업무지구예정 부지 전경. / 사진 = 뉴스1(허경 기자)
|
12일 서울시와 정치권에 따르면 서울시장 후보인 정몽준 새누리당 의원이 최근 용산국제업무지구 개발(이하 용산개발) 이슈를 들고 나오면서 6·4지방선거 쟁점으로 떠올랐다.
정 의원은 "(용산개발이) 덩어리가 커서 소화가 안되고 있다"며 "단계적·점진적으로 해결할 필요가 있고 큰 그림을 갖고 검토하고 있다"고 말하면서부터 논란은 시작됐다.
이에 대해 박원순 시장은 지난 10일 "(용산국제업무지구 통합개발은)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다"며 민감하게 반응했다. 박 시장은 해당구역(서부이촌동) 내에서도 부지에 따라 서로 다른 대책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특히 "단독주택지역, 코레일부지, 아파트 등 상황들이 서로 다르다"며 "현재는 개발 묶인 게 풀린 상황이지만 앞으로 어떻게 될지 방향은 확신을 못한다. 상황에 맞는 대책이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논란의 쟁점은 개발방식이다. 코레일이 보유하고 있는 철도정비창 부지와 인근 아파트와 단독주택 등 주거지역을 함께 개발하는 '통합개발'과 이를 따로 개발하는 '분리개발' 방식을 두고 의견차를 나타낸 것이다.
이와 관련, 서울시는 12일 용산개발 재개를 둘러싼 논란은 '통합개발을 연상케한다'며 철도정비창과 주거지역을 분리한 '맞춤형 개발'이 추진돼야 한다고 분명히 선을 그었다.
주거지역인 서부이촌동은 주민이 원하는 시기와 방법으로 사업으로 지역특성에 따른 맞춤형 개발이 필요하다는 게 시의 설명이다. 철도정비창 경우 중요 개발 가용지로 활용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했다.
정 의원은 박 시장이 용산개발에 부정적 입장을 밝힌 것과 관련해 비판의 목소리를 높였다. 정 의원은 "세상의 모든 일은 가능하다고 생각하는 사람이 할 수 있다"며 "신중하게 일을 한다는 것은 좋지만, 용산 사업을 단계적으로 추진하면 서울시민에게 도움이 되는 좋은 사업으로 만들 수 있다"고 말했다.
새누리당의 또 다른 서울시장 후보인 이혜훈 최고의원은 이날 뉴타운 사업 공약을 발표하는 자리에서 "대규모 개발 사업을 추진하기 보다는 서민 삶의 문제 해결이 더 중요하다"며 분리개발에 힘을 실었다.
용산개발을 둘러싼 문제는 개발방식뿐만이 아니다. 현재 코레일과 시행자(드림허브) 간에 토지소유권 반환 소송이 진행되고 있기 때문이다. 코레일은 사업시행자인 드림허브 프로젝트금융투자(이하 드림허브)로부터 부지 소유권을 되돌려 달라는 토지 반환소송을 진행 중이다.
총 31조원 규모의 단군 이래 최대 개발사업으로 불렸던 용산개발은 코레일이 보유하고 있는 용산의 철도정비창 부지와 서부이촌동 일대 51만8692㎡를 개발하는 프로젝트다. 초고층 빌딩을 비롯해 상업·문화·주거 시설 등으로 구성된 대규모 첨단 복합단지를 개발하는 사업이다.
이재윤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