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낙후된 도심의 개·보수를 통해 활력을 불어넣는 도시재생선도사업으로 서울 숭인·창신동 등 13곳을 선정했다. 이는 주택뿐 아니라 산업과 상업 등을 복합적으로 연계한 재생사업으로 개념을 확장한 것이다.
국토교통부는 국무총리 소속 도시재생특별위원회 심의를 거쳐 도시재생선도지역으로 13곳을 지정했다고 28일 밝혔다.
도시재생선도지역은 노후화로 인해 재생이 시급하고 주변지역에 대한 파급효과가 높은 곳을 정부와 지자체가 중점적으로 지원한다.
도시재생사업은 경제 회복 효과가 큰 산업단지나 항만, 철도 등 국가 핵심시설과 정비·개발사업을 연계해 고용과 산업기반을 개선하는 '도시경제기반형'과 쇠퇴한 구도심과 중심시가지, 생활여건이 열악한 낡은 주거지역을 재정비하는 '근린재생형' 등 두 가지로 나뉜다.
이번 도시재생선도지역은 도시경제기반형 2곳, 근린재생형 11곳(일반규모 6곳, 소규모 5곳)이 선정됐다.
도시재생선도사업은 오는 5월부터 주민과 지자체를 중심으로 구체적인 실행계획인 도시재생활성화계획을 수립하고 9월부터 사업을 착수해 2017년까지 4년간 시행될 예정이다.
이번 선도지역에 대해서는 계획수립비(5000만~2억원)와 사업비(60억~250억원)가 4년간 국비로 지원된다. 올해는 계획수립비(13억1000만원)와 사업비의 20%(280억원)가 예산으로 책정됐다.
김현주 기자
서울 숭인·창신동 등 13곳, '도시재생선도지역'으로 선정
세계일보 2014.04.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