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news/재개발 & 재건축

`장위4구역` 재개발 사업비 갈등 증폭… 진흙탕 싸움으로 번지나

서광 공인중개사 2020. 4. 20. 18:27

naver "북아현뉴타운을 만드는 사람들"



`장위4구역` 재개발

사업비 갈등 증폭진흙탕 싸움으로 번지나...





디지털타임스 | 2020.04.16


기존보다 900억원 증액 무산
조합 "절차 따른 것" 입장에
조합원 "기초적 내역도 빠져"
집단행동에 사업장기화 우려



지난해 일반분양이 연기됐던 장위4구역이 올해도 분양에 차질을 빚을 것으로 보인다. 공사비 증액을 놓고 조합과 입주예정자협의회가 갈등을 빚으면서, 사업 지연이 장기화될 조짐이다. 사진은 장위4구역 전경. <서울시 제공>

[디지털타임스 이상현 기자] 서울 장위뉴타운 내 최대 규모의 장위 4구역이 재개발 사업비를 둘러싸고 조합과 조합원들 간에 마찰이 생기면서 지난해에 이어 올해도 일반분양 등 사업이 지연될 위기에 놓였다.

조합은 사업비 증액이 절차에 따른 것이라는 입장인 반면, 일부 조합원들은 기초적인 내역도 빠진 무단 증액이라는 입장이다.

장위4구역은 지난해 가을에도 미이주 3가구로 이주와 철거가 지연된 바 있어 올해 역시 공사비 증액을 놓고 조합과 조합원들 간의 이견이 길어질 경우 자칫 사업지연이 장기화 될 위기에 놓였다.

16일 정비업계에 따르면 장위4구역 주택재개발정비사업조합은 최근까지 계약 내용 변경, 공사비 증액 등을 통해 기존보다 정비사업비를 약 900억원 가량 증액하려다 입주예정자협의회의 반대로 무산되며 갈등이 본격화 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전체 사업비 1조990억원의 약 8% 수준이다. 증액된 사업비 항목으로는 감리비, 공사비, 보상비, 금융비용비 등이다.

하지만 서울시 클린업 시스템을 통해 이를 확인한 일부 조합원들은 이같은 공사비 증액 대부분이 부당하다고 주장하고 나서면서 조합과의 갈등이 빚어졌다.

이들 조합원들이 주장하는 불합리한 공사비 증액 항목으로는 시공사에 공사비 선지급, 정비기반시설 공사비 무단증액, 계약내용 변경 등이다.

장위4구역의 한 조합원은 "조합 측에 공사비 증액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을 물었지만 제대로 된 답변을 듣지 못했다"며 "900명의 조합원을 대변해야 할 조합이 엉터리 관리로 사업을 좌지우지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그는 "증액된 사업비에 대해 지난해 한국감정원 공사비 검증도 의뢰해 놓은 상태지만, 조합에서 비협조적으로 나오고 있다"고 설명했다.

조합에 반발한 조합원들은 현재 집단 행동에 나선 상황이다. 이들은 '장위4구역 입주예정자협의회'를 구성하고 집단 행동에 나섰다. 입주예정자협의회는 조합 임원진의 연임을 막고 조속히 일반분양을 추진하겠다는 입장이다.

이를 위해 입주예정자협의회는 조합원들을 대상으로 의견을 모으기 위한 설문조사 등을 추진했으며, 정관변경 임시총회도 추진할 계획이다.

조합과 조합원들이 갈등을 빚으면서 장위4구역 조합원들의 주소로 괴우편물도 발송되는 등 진흙탕 싸움으로 번지고 있다.

해당 우편물에는 입주에정자협의회 소속의 한 조합원을 비방하는 내용이 담겼다. 장위4구역 입주예정자협의회 관계자는 "해당 우편물이 한 곳의 우체국이 아닌 여러 곳을 통해 조합원들에게 발송된 것으로 파악했다"며 "조합원들에게 동시에 우편물을 보낸 것이라면, 조합원들의 주소정보를 갖고 있는 조합 측에서 보낸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조합과 입주자예정협의회로 구성된 조합원들의 갈등이 장기화됨에 따라 당초 올해 추진하려던 일반분양일정 역시 불투명해졌다. 입주예정자협의회 소속 한 조합원은 "조합에서는 코로나19, 민간택지 분양가 상한제 등을 이유로 분양을 계속 늦추고 있다"며 "입주예정자협의회에서는 증액된 사업비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과 함께 일반분양을 연내 추진할 수 있도록 하겠다는 입장"이라고 밝혔다. 그는 "장위4구역은 아직 이주도 시작하지 않은 장위6구역에 비해 프리미엄이 역전된 상황으로, 매우 문제가 심각하다"고 덧붙였다.

이에 대해 조합 측에 사실여부에 대해 답변을 요구했으나 조합 측에서는 공식적인 공문을 통해서만 답변하겠다는 입장이다.

장위4구역 조합 관계자는 "해당 내용에 대해서는 공문을 통해서만 답변할 것"이라며 "유선상 질의에는 대답하기 어렵다"고 입장을 밝혔다.

한편 장위4구역은 재개발 이후 2840가구 규모의 대단지 탈바꿈되며, 지난 2017년 8월 이주를 시작했다. 시공사는 GS건설이 맡고 있다.

이상현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