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news/재개발 & 재건축

첫 도심 고밀개발 사업 후보지로 영등포역·창동 준공업지 등 21곳 선정

서광 공인중개사 2021. 3. 31. 17:28

 

 

첫 도심 고밀개발 사업 후보지로

영등포역·창동 준공업지 등 21곳 선정

 

 

 

 

 

 

경향신문 | 2021.03.31

 

2·4 공급대책 발표 이후 공공복합도심사업 첫 사업후보지역으로 영등포구 영등포역 인근과 옛 신길15구역, 금천구 가산디지털역 인근, 은평구 녹번동 근린공원 인근 등 총 21곳이 선정됐다. 해당 지역에는 용적률 상향, 기부채납 완화 등을 통해 약 2만5000가구 규모 주택단지가 공급된다.

 

31일 국토교통부는 서울 지역 공공복합도심사업 첫 사업후보지 선정을 확정했다. 선정된 21개 지역은 가산디지털역 인근 금천구 1곳, 방학역·쌍문역·창동 674 일대 등 도봉구 7곳, 영등포역과 옛 신길 2·4·15구역 등 영등포 4곳, 녹번동·불광 근린공원 인근과 옛 수색14구역 인근 등 은평구 9곳이다. 입지 특성별로 보면 역세권이 9곳, 준공업지역 2곳, 저층주거지 10곳으로 선정됐다.

 

1차 선도사업 후보지역은 4개 지역 지자체 제안 후보지 109곳 중에서 정비사업과 소규모 사업 등을 제외한 도심공공주택 복합사업 62곳 후보지 가운데 심사를 거쳐 선정됐다. 우선 접수한 지자체를 중심으로 범위와 규모, 노후도 등 입지요건과 토지주 추가수익 사업성 요건 등을 검토한 후 우선 선정했다.

 

국토부는 “지자체의 개발의지가 있고, 기존 개발사업이 중단·장기지연되고 있거나 개발사업 계획이 없는 곳 중심으로 우선 검토했다”며 “이미 사업계획이 수립되어 있거나 추진 중인 정비사업 등은 토지주와 조합원들 희망 개발방향 등을 확인한 후 공개할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1차 후보지 공개를 시작으로 4~5차례에 걸쳐 추가 후보지가 발표될 계획이다.

 

선정된 후보지는 대체로 사업성이 낮아 민간 개발이 어렵거나 노후화가 가속된 지역이다. 영등포 신길동 저층주거지의 경우 신길뉴타운 중심부에 위치해있으나, 인접지역이 고밀개발됨에도 불구하고 2014년 재개발 구역해제 후 노후화가 진행돼왔다. 옛 신길15구역의 경우 면적이 10만6094㎡에 달하며 노후도가 89.5%인데, 계획대로 개발이 완료되면 총 2380가구가 공급될 예정이다.

 

1차 선도사업 후보지 21곳은 용도지역 1~2단계 종상향 등 인센티브를 통해 기존 민간 재개발 추진할 때 보다 용적률이 평균 111%포인트 상향된다고 국토부는 설명했다. 또 기부채납 완화(15% 이내) 등을 통해 구역별 평균 약 341세대(39.9%)가 증가하는 것으로 분석됐다.

 

후보지 21곳 향후 지자체 등과 협의해 조속히 세부 사업계획안이 수립될 예정이다. 국토부는 주민설명회 등을 거쳐 토지등소유자 10% 동의요건을 우선 확보하는 후보지에 대해서는 7월부터 예정지구로 지정해 신속하게 개발에 나선다. 한편 후보지역에 투기적인 수요가 유입되지 않도록 예정지구 지정 시 1년 전 시점부터 인근지역 이상·특이거래 조사하고, 후보지 발표 이후 이상거래가 포착되거나 시장 과열시 토지거래허가구역 지정을 검토할 계획이다.

 

김희진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