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naver "북아현뉴타운을 만드는 사람들" 클릭 ◈
국민일보 2018.01.24
지난해 서울은 아파트뿐만 아니라 단독주택 가격도 크게 올라 2007년 이후 최대폭의 상승률을 기록했다. 반면 경남 거제는 조선업 불황으로 지역경제가 위축돼 집값 상승률이 최하위에 머물렀다.
24일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서울 표준 단독주택 가격은 지난해에 비해 7.92% 상승했다. 2016년 4.53%에서 지난해 5.53%로 오른 데 이어 올해 다시 상승폭을 키웠다. 7%대 상승률을 기록한 것은 2007년 9.09%에서 2008년 6.99%로 크게 떨어진 이후 10년 만이다.
국토부 관계자는 “서울은 저금리로 인해 많은 유동성이 부동산에 유입됐고 재개발, 재건축 등 개발사업으로 투자수요도 증가해 단독주택 가격이 많이 올랐다”고 설명했다.
전국의 표준 단독주택 가격 상승률은 5.51%로, 2012년 이후 6년 만에 5% 대에 진입했다. 수도권은 6.17%, 광역시는 5.91%, 시·군은 4.05% 상승했다.
시·도 중에서는 제주도(12.49%) 상승률이 가장 높았다. 서울과 제주를 포함해 부산(7.68%), 대구(6.45%), 세종(5.77%), 광주(5.73%) 6개 시·도는 집값 상승률이 전국 평균을 넘었다. 그러나 대전(2.74%), 충남(3.21%), 경북(3.29%) 등 11개 시·도는 전국 평균보다 낮았다. 제주, 부산, 대구, 광주는 재개발 등 각종 개발사업 등의 영향으로, 세종은 정부 기관 이전으로 인한 주변지역 개발로 주택 수요가 늘어 단독주택 가격이 많이 올랐다.
시·군·구별로 전국 평균보다 높게 상승한 지역은 57곳, 평균보다 낮은 곳은 193곳이었다.
제주 서귀포시가 최고 상승률(13.28%)을 기록했고 이어 제주 제주시(12.08%), 부산 수영구(11.82%), 서울 마포구(11.47%), 대구 수성구(11.32%) 등 순이었다.
반면 경남 거제시(0.64%)와 울산 동구(0.77%)는 집값 상승률 하위 1, 2위였다. 3위는 지진이 발생한 경북 포항 북구(0.90%)였다.
단독주택 가격 중 가장 비싼 곳은 169억원으로 평가된 이명희 신세계그룹 회장의 한남동 주택이었다.
국토부는 25일 전국 표준 단독주택 22만호의 가격을 관보에 공시할 예정이다. 표준 단독주택 공시가격은 전국적으로 약 396만호에 이르는 개별 단독주택 가격 산정 기준이 되며, 재산세 등 각종 조세와 부담금 부과의 기초자료로 활용된다. 이의신청은 2월 23일까지 할 수 있다.
세종=서윤경 기자
'부동산 news > 부동산 종합 소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양도세 올리자 서울 분양권거래 반토막…1월 44%↓ (0) | 2018.02.10 |
---|---|
주택법에 '후분양제 도입안' 담는다 (0) | 2018.02.09 |
앉아서 유탄 맞는 강북 재건축 아파트 (0) | 2018.01.27 |
‘헛발질’ 정부…강남 집값 ‘폭주’ 서울 전역 확산 (0) | 2018.01.19 |
8.2대책 이후 강남 6억 오를때 강북은 1억 내렸다 (0) | 2018.01.17 |